발바닥 가운데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찌릿한 느낌과 땡김현상이 있을 때 가장먼저 떠올리는 단어는 족저근막염 입니다. 그만큼 TV나 매스컴을 통해 익숙해진 단어이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통증이 느껴지는 발바닥 위치에 따라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은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발 앞꿈치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는 지간신경종, 아치를 이루고 있는 발바닥 가운데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는 부주상골 증후군, 발바닥 뒤쪽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이들의 원인과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 앞꿈치에 통증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발바닥 앞쪽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느껴진다면 지간신경종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지간신경종의 원인은 발가락에 있는 신경이 과도한 압력을 받거나 붓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하이힐과 같이 발볼이 좁은 신발들을 착용할 때 이런 질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1 지간신경종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 발볼이 넓은 신발을 착용하기
- 발에 큰 압력이 가해지는 행동 피하기
- 염증을 억제해 주는 주사 치료
자간신경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발에 압력이 가해지는 행동을 피하는게 좋습니다. 만약 평소에 발볼이 좁은 신발을 자주 신는다면 넓은 신발로 교체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염증이 심한 경우는 전문의의 판단아래 주사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2. 발바닥 가운데가 찌릿거리거나 땡기는 통증들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발바닥에 가운데를 보면 아치모양으로 움푹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이 곳에 통증이 느껴지신다면 부주상골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부주상골이란 주상골과 붙어있어야 하는 뼈가 접합되지 못하고 있는 것 입니다. 전 인구의 10%정도가 부주상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평소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지만 부주상골 주변에 있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찌릿거림과 땡김 등의 통증을 동반하여 나타납니다. 특히 발목을 접질리거나 발목을 감싸는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부주상골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1 부주상골 증후군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 초기라면 움직이지 않게 깁스를 통해 보호하고 약물치료와 냉찜질을 병행합니다.
- 통증이 심해진다면 부주상골의 제거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은 크게 보존적 치료방법과 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단 초기에는 깁스를 통해 해당 부위를 보호해 주고 약물 치료를 병행 합니다. 만약 3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를 했는데도 호전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발바닥 뒤쪽에 통증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발바닥 뒤쪽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뼈인 종골에서 시작해 발가락 기저부에 부착되는 두꺼운 섬유띠 입니다. 족저근막의 역할은 발의 아치 형태를 유지시켜주고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럼 족저근막염은 왜 생기는건지 알아보겠습니다.
3.1 족저근막염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 계단오르기
- 과도한 체중
- 하이힐
- 과다한 신체활동
- 당뇨 및 관절염
- 등산
- 달리기
- 점프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외상
3.2 족저근막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족저근막염의 증상은 걸을 때 나타나는 발바닥 통증 입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난 직후 걸을 때 큰 통증이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잠을 자는 동안 수축됐던 족저근막이 걷는 것과 동시에 이완되기 때문입니다.
3.3 족저근막염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족저근막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90% 이상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 회복될 수 있다고 합니다. 잠을 잘 때 보조기를 착용해 족저근막이 스트레칭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면 일주일 정도 후에 증상이 호전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증상이 호전됐다고 보조기 착용을 멈추면 안되고 보조기는 2~3개월 정도 착용을 해야 완전히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발바닥 통증에 대한 결론
발바닥 가운데 통증에 대해 알아보며 추가적으로 앞꿈치와 뒤꿈치 통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발바닥 아치 부분에 통증이 느껴지면 부주상골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는 것이지 무조건적으로 이 질환일 것이다는 아닙니다. 그리고 정확한 진단은 꼭 전문의를 통해 받으시길 바랍니다.